건강상식

쓰레기 식초

가루매지기 2014. 1. 3. 14:51

1. 적당한 항아리를 준비한다.

 

2. 음식물 쓰레기를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는다.

음식물 쓰레기 중에서 계란 껍질은 반드시 넣는다.

식초가 만들어지면서 계란 껍질이 녹는 상태로 식초 산도측정의 근거로 사용한다.계란 껍질이 녹을 정도로 숙성 시키면 좋다.

 

3. 항아리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는다음 생 막걸리 3병을 모두 넣는다.

식초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막걸리는 효모가 살아 있는 생 막걸리를 사용한다.

 

4. 조청을 한 큰 술 넣는다.

조청을 넣는 이유는 공기 중에는 부패를 촉진 시키는 잡균과 식초를 만드는 초산균이 있는데 그중 잡균이 먼저 증식하면 식초를 만드는 재료는 부패하게 되고, 초산균이 먼저 증식을 하게 되면 산도가 올라가면서 식초에 의해 잡균이 죽는데 이것은조청이 초산균의 증식을 돕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음식물 쓰레기를 모은 다음 나중에 조청을 넣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되어서 식초 만들기에 어려움이 야기된다.

조금 넣어도 되고 많이 넣어도 상관 없다.

조청은 반드시 처음부터 넣어야 한다.

 

5. 면포로 항아리 뚜껑을 덮고 고무줄로 동여 맨다.

항아리 뚜껑을 닫지 않는 이유는 공기중의 초산균이 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6. 상온에서 30일 정도 숙성 시킨다.

 

7. 식초 만들기에 성공을 하게 되면 10일종도 잘 흔들어 주면 식초가 뿌옇게 되는 데 이것이 모균이며 이것을 작은 병에 담아서 보관 했다가 다음 식초 만들 때, 한 큰술 정도를 넣던가아니면 전체를 넣으면 식초 만들기 성공률을 높인다.

식초의 모균은 냉장 보관한다.

냉동 시키면 초산균이 사멸될 가능성이 있다.

 

※ 유의사항

식초가 숙성 중에 흔들어 주기 위해 숫가락이나 젓가락으로 젓게 되면 잡균이 들어가서 식초 만들기에 실패를 한다.

초산균은 호기성 균이다.

그래서 산소를 소비하기에 식초 만드는 용기는 밀폐를 해서는 안된다.

 

※ 식초 음용법

소음인 체질이나 식초에 알러지가 있는 체질은 식초를 먹으면 위산이 역류하기 쉽다.

이 때는 식초에 우유를 약간 넣고 함께 마시면 좋다.

일반적으로 생수와 식초를 3:1 비율로 혼합하여 먹는데 먹기 곤란하면 6:1 비율로 희석하여 섭취한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단풀  (0) 2015.02.11
견과류의 효능  (0) 2015.01.08
항암에 도움이 되는 약초 34가지   (0) 2013.04.15
전원 생활의 필수 지혜 31가지  (0) 2012.10.04
암을 극복하는 방법   (0) 2012.09.26